혼자만의 공간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 누군가의 흔적, 영화의 의미, 감독과 배우


혼자 사는 집에 누군가가 문을 열려고 합니다. 현실의 극심한 공포가 느껴지는 영화 <도어락>은 스릴러 장르다. 혼자지만 누군가의 흔적이 있고 침대 밑에서 의문의 열쇠를 발견한다. 이 영화의 의미를 살펴보고 감독과 배우에 대한 소개를 남겨보자.

누군가의 흔적

오늘의 주인공 경민은 바쁜 하루를 준비하며 동료 효주와 함께 평소와 같은 하루를 보내고 있다. 은행에서 계약직으로 일하는 경민은 정규직을 꿈꾸며 성과를 높이기 위해 남성 고객에게 상품을 추천한다. 하지만 손님의 통장내역을 확인하고 다음에 가입하라고 하지만 남자는 무시당하는 기분에 화를 내며 경비원에게 쫓겨난다. 유난히 피곤한 경민은 하루를 마무리하고 누웠다. 그런 다음 누군가가 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듣고 도어록 번호를 누르기 시작합니다. 망원경으로 확인해 보니 아무도 없고 담배꽁초만 있었다. 경찰에 전화를 걸어 지문검사를 해달라고 하지만 별거 아니라고 하고 돌아온다. 그리고 그날 저녁, 어제의 사건으로 모든 것이 불안해지기 시작한 경민은 복잡한 마음을 품고 ​​잠이 들었고, 경민의 침대 밑에서 거짓말처럼 기어나온 한 남자가 경민을 미리 준비한 약으로 더 깊이 잠들고, 마치 자신의 집처럼 느껴지게 만들었다. 행동을 시작하고 경민이가 일어나기 전에 조용히 떠납니다. 밤늦게까지 일을 마치고 집으로 가는 길에 버스 정류장에서 자신을 기다리고 있던 남자 손님과 마주치고 경민을 붙잡고 신랑을 버린다. 그녀는 상사인 김과장의 도움으로 간신히 위기를 모면한다. 지갑을 배달하러 온 김과장을 보고 집을 모르는 경민의 방문이 의심스러워 경찰에 신고한다. 경찰이 문을 열자 김과장은 싸늘한 시체가 되고, 경민은 용의자로 의심을 받아 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풀려난다. 침대 밑에서 카드키를 찾아 동료 효주와 함께 직접 범인을 찾기 위해 나선다.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은 집과 침대 밑 낯선 사람의 흔적 경민은 위험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영화 의미

혼자 살면 더 무서운 영화 <도어락>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사건이 벌어지는 스릴러 장르 영화다. 다른 공포영화보다 관객이 느끼는 공포감이 더 높은 작품이었다. 영화는 일상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소재를 보여주었다. 실제로 몰래카메라 설치를 통해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사건이 발생한다. 특히 지극히 평범한 혼자 사는 경민을 주인공으로 설정해 시청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했다. 도어록 하나만으로 안전을 보장받는 데서 오는 불안함은 늘 혼자 살지만 남자가 집에 사는 것처럼 꾸민다. 누군가 문을 두드리는 소리와 비밀번호를 누르는 소리에 느꼈던 불안과 극도의 공포에 소름이 돋았다. 단순히 1인 가구 범죄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 시대 여성들이 겪을 수 있는 불안과 공포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혼자 사는 평범한 주인공과 도어록을 소재로 현실에 대한 공포와 사회의 부조리함을 긴장감 있게 표현한 영화다.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그려내고 영화를 보는 우리의 자각과 생각을 일깨워 우리가 상상했던 공포의 순간을 현실적으로 극대화한다.

감독과 배우

2018년 12월 5일 영화 도어록이 개봉했다. 이권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공효진(경민)과 김예원(효주)이 출연했다. 여성의 불안과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여러 편 관람한 이권 감독과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사전 조사를 진행한 배우 공효진 덕분에 공포의 디테일한 묘사가 가능했다. 이권 감독은 우리 사회에서 혼자 있는 문화가 일상화되고 그로 인해 소통의 관계가 점차 단절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혼자 사는 집을 누군가가 노리고 있다는 것도 두렵지만, 피해자에게 불리하게 가는 사회의 이미지를 담고자 의도했다고 한다. 한편, 이 작품은 강한 남성 캐릭터나 가족이 여주인공을 돕는 스릴러의 일반적인 공식보다는 모든 사건을 헤쳐나가는 여주인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터뷰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범죄가 피해자들에게 남긴 트라우마를 보여주며 마무리된다. 공효진은 인터뷰에서 ‘경민’은 현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캐릭터이며, 서민들의 두려움을 리얼하게 표현한 배우로서 이웃처럼 연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특히 살인 현장을 발견한 제자들의 떨리는 연기와 영화 20도의 클라이막스 액션을 위해 차가운 ​​건물 바닥을 맨발로 뛰는 투혼은 관객들의 작품 몰입도에 크게 기여했다. 김예원은 도어록에서 경민의 동료이자 함께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조력자 효주 역을 맡았다. 그는 극에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어두운 작품의 분위기를 조금씩 환기시키는 역할을 훌륭하게 해냈다. 영화를 보는 동안 그녀는 마치 자신이 실제로 그 상황에 처해 있고 실제 상황을 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지금 우리가 안전한지 생각해 보십시오.